강좌 디지털사진의 파일 포맷
페이지 정보
본문
디지털 사진의 파일 포맷
Jpg로 찍을 것인가, Raw파일로 찍을 것인가... 그것이 문제로다.
디지털 카메라로 사진을 촬영하고자 할 경우 주로 사용하는 파일 포맷으로 JPEG, TIFF, RAW 등이 있다.
각각의 포맷은 장점도 있는 반면 단점도 있다.
어떤 포맷으로 촬영하고 이미지를 처리할 것인가의 문제는 사진가가 결정해야 할 문제이지만
각 파일포맷의 장단점과 특성을 잘 알고 사진을 촬영한다면 금상첨화일 것이다.
촬영한 사진을 웹에 올리거나 이메일 전송 등에 주로 사용할 목적이라면
JPEG 포맷으로 촬영하여도 무방할 것이다.
좋은 성능의 컴퓨터와 대용량 저장장치 등이 갖춰져 있다면 TIFF 포맷을 사용하는 것도 좋을 것이다.
그러나 대형 프린트가 목적이거나 촬영한 사진을 사진가의 취향에 맞춰 마음대로 편집하기를 원한다면
RAW 포맷으로 촬영하는 것이 최상의 선택이 될 것이다.
각 파일포맷의 특성을 살펴보자.
- JPEG(Joint Photographic Experts Group)
대부분의 디지털 카메라에서 대표적인 파일포맷으로 채택하고 있으며,
사진포맷에 대해서 토론하기 위해서 모였던 사진가들의 단체인 Joint Photographic Experts Group의 앞글자를
따서 만든 파일 포맷이다.
사진을 촬영할 때 디지털카메라 제조사에서 카메라에 장착된 프로그램을 통하여 사용자가 미리 설정한
픽쳐스타일 등을 적용하여 가장 최적화된 사진이미지로 변환 후 압축기술을 적용하여 사진사이즈를 줄여서
저장을 하게 된다. 따라서 압축과정에서 종종 이미지의 화질에 손실이 발생하며 파일사이즈를 줄이기 위해
너무 많이 압축하게 되면 눈에 띨 정도로 이미지에 손상을 가져온다. 따라서 JPEG로 촬영하거나 저장을 할
경우에는 가급적 최대사이즈로 촬영 또는 저장을 하는 것이 좋다.
또한 포토샵 등의 후보정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사진을 편집할 경우, 사진촬영 시 이미 한 번 압축하여 저장하는
과정에서 화질 손상이 온 상태이기 때문에, 후보정 과정에서 심각한 화질의 손상을 더할 수 있으므로
대형 프린트를 목적으로 찍는 사진에는 적합하지 않다고 볼 수 있다.
촬영 시 카메라 조작을 완벽하게 하여 후보정이 필요하지 않게 완벽한 사진을 촬영할 자신이 있다면
jpeg포맷으로 촬영하여도 무방하겠지만 대형프린터를 목적으로 하는 촬영에는 적합하지 않다고 볼 수 있다.
- TIFF(Tagged Image File Format)
1980년대 다수의 대부분의 컴퓨터 환경에서 사용할 수 있는 표준 이미지 포맷을 만들기 위해 고안된 그래픽 파일
포맷으로, 주로 스캐너나 팩스시스템 등에서 많이 사용하고 있으며 무손실 압축방식을 사용하여 용량을 최소화
하여 저장하지만, 압축을 하지 않고 저장하므로 파일사이즈가 매우 커지는 단점이 있다.
질 좋은 이미지를 얻을 수 있는 파일 포맷이긴 하지만, 용량이 너무 커서 이미지 관리가 어렵고 작업의 효율성이
떨어지므로 대부분의 카메라에서는 지원을 하지 않고 있다.
다만, 포토샵에서 보정작업을 마친 후 출력소로 파일을 보낼 경우에는 가급적 Jpg 파일 보다는 Tiff파일로 저장
한 후 출력소로 보낸다면 포토샵에서 작업한 원본파일의 손상을 최소화한 상태로 사진을 출력할 수 있으므로
가급적 Tiff파일로 저장하는 것이 유리하다.
- RAW
‘가공되지 않은’, ‘날 것’이라는 말로 어떠한 가공도 거치지 않은 원본 상태의 파일이라는 뜻이다.
센서로 들어온 정보에 최소한의 처리만 하고 저장된 파일로 화이트밸런스, 색감 등이 정의되지 않은 원시상태
그대로의 파일이다. 촬영 당시의 모든 정보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파일의 크기가 큰 반면에 사진가의 의도대로
어떠한 형태로든 가공이 가능하다. RAW 파일은 카메라 제조사에 따라 각자 다른 방식으로 저장되는 제조사에게
독점권이 있는 포맷이며, 카메라 제조사 마다 RAW파일을 편집할 수 있는 독자적인 프로그램을 제공하고
있으나, 제조사의 프로그램은 다른 제조사의 RAW파일은 편집을 할 수 없고 기능 또한 제약이 많다.
따라서 포토샵 필터인 ACR(Adobe Camera Raw) 또는 포토샵 라이트룸을 사용하면 카메라 제조사에 관계없이
대부분의 RAW파일을 편집할 수 있다.
다만, 최근에 출시된 최신형 카메라의 경우에는 자신이 사용하는 포토샵의 버전에 따라 RAW파일 편집을
지원하지 않는 경우가 있다.
이런 경우 Adobe사의 홈페이지를 방문하여 최신의 ACR(Adobe Camera RAw)버전을 다운받아 설치하여야만
후보정이 가능할 수 있다.
프린트를 목적으로 사진을 촬영하는 사진가라면 당연히 RAW 포맷으로 촬영하는 것이 사진가가 원하는 대로
후보정을 통하여 원하는 결과물을 얻을 수 있는 최선의 선택이 될것이다. 또한 최근에는 고용량의 메모리카드나
외장하드의 가격도 많이 저렴해져서 파일용량에 신경쓰지 않고 마음껏 촬영할 수도 있으니 말이다......
파일포맷에 따른 파일용량을 보면 jpg파일은 RAW포맷에 비해 약 3분의 1정도의 용량을 차지하고,
tiff파일의 경우 동일사이즈의 이미지라도 파일용량은 RAW파일에 비해 약 3배,
아래의 링크를 클릭하면 더 많은 포토샵 강좌를 보실 수 있습니다.
http://cafe.daum.net/LYHshutter/dE0p/53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